IT·인터넷 관련뉴스

‘제20회 경암바이오유스 캠프’ 개최

뉴스포커스 0 6


서울--(뉴스와이어)--경암교육문화재단이 주관하고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가 주최하는 ‘제20회 경암바이오유스 캠프’가 오는 7월 30일(화)~31일(수) 전국 6개 대학에서 오프라인으로 개최된다.

2024년도 제20회 경암바이오유스 캠프 포스터
2024년도 제20회 경암바이오유스 캠프 포스터
역대 경암바이오유스 캠프 개최 현황
역대 경암바이오유스 캠프 개최 현황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생명과학 분야에 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매년 개최되고 있는 경암바이오유스 캠프는 올해도 학계 및 산업계의 전문가들이 모여 교과서에서는 접하기 어려운 흥미롭고 다양한 주제의 강연을 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20주년을 맞이해 더욱 알차고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강연과 더불어 역대 경암바이오유스 캠프를 경험하고 생명과학 분야로 진학 및 진출한 선배들과 소통할 수 있는 ‘경암 Bio Youth Camp 선배들과의 만남’ 시간도 준비돼 있다.

일시 및 장소

2024년 7월 30일(화) 09:00~16:30
· 서울 : 서울대학교 28동 101호
· 대전 : KAIST KI빌딩 퓨전홀
· 대구 : DGIST 컨실리언스홀 대강당

2024년 7월 31일(수) 09:00~16:30
· 서울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신촌) 은명대강당
· 부산 : 부산대학교 본관 대강당
· 광주 : GIST 오룡관 303호

참가 대상 및 신청

· 참가 대상 : 전국 고등학생
· 신청 방법 :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홈페이지(www.ksmcb.or.kr)
· 신청 기간 : 2024년 6월 3일(월) ~ 6월 30일(일)
· 참가비 : 무료 (선착순 마감)

강연 내용 (행사장별 4개 강연 진행)

1. 7월 30일(화)
서울대학교
· 박웅양 교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 인간 세포 지도
· 김보미 박사 (극지연구소) - 과거에서 온 미래의 선물, 유전체
· 김상규 교수 (KAIST 생명과학과) - 사막 위 식물 그리고 학자
· 백민경 교수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 인공지능으로 풀어내는 단백질의 비밀

KAIST
· 박수형 교수 (KAIST 의과학대학원) - 신종 감염병과 백신
· 정부희 박사 (우리곤충연구소) - 곤충의 집짓기
· 김천아 박사 (KRIBB) - 노화 치료 시대의 서막
· 김재경 박사 (KAIST 생명과학과) - 꿀잠을 통한 기억 조작 프로젝트

DGIST
· 정찬 교수 (DGIST 뉴바이올로지학과) - 쌍둥이는 정말 같을까?
· 문여정 전무 (IMM Investment) - 과학으로 부자되는 법
· 김영수 교수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 알츠하이머병의 정복을 위하여
· 김진현 박사 (KIST 뇌과학연구소) - 뇌지도를 그리다

2. 7월 31일(수)
연세대학교
· 이은희 대표 (하리하라SCC) - 하리하라의 눈 이야기-본다는 것의 의미
· 박현우 교수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 혹부리 영감이 들려주는 암전이의 비밀
· 심지원 교수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 곤충은 어떻게 숨을 쉴까?
· 송정훈 박사 (국립농업과학원) - 너는 누구니? - 생물의 이름 짓기와 족보 찾기

GIST
· 김영준 교수 (GIST 생명과학부) - 초파리와 현대 의생명과학
· 윤소정 CSO (스탠다임) - 생성형 AI: 신약 디스커버리의 새로운 열쇠
· 정가영 교수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신약개발과 노벨상
· 박종배 교수 (국립암센터) - 암사냥꾼: 과학의 힘으로 암을 추적하다

부산대학교
· 주영석 교수 (KAIST 의과학대학원) - 분자 시계 DNA, 사람의 발생과정을 밝힌다
· 고아라 교수 (POSTECH 생명과학과) - 마이크로바이옴이 우리 몸에 보내는 메시지
· 배순식 교수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바늘로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는 사람은?
· 신현길 박사 (안전성평가연구소) - AI 신약개발

‘경암바이오유스 캠프’ 관련 프로그램

1. 경암 Bio Youth Camp 선배들과의 만남
역대 경암바이오유스 캠프에 참여했던 학생 중 생명과학 분야로 진학/진출해 활동 중인 학계, 산업계 등의 여러 전문가를 멘토로 초청해 참가 고등학생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준비할 예정이다.

2. 경암바이오 시리즈 책자 발행
· 2005~2014년도 경암바이오유스 캠프 강연 내용을 책으로 엮어 경암바이오 시리즈 발행
· ‘생물학 명강 1, 2, 3’ 미래창조과학부 인증 우수과학도서 선정
· ‘생물학 명강 라이브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증 우수과학도서로 선정

경암교육문화재단 소개

경암교육문화재단은 2004년 2월 부산 태양그룹의 설립자인 고(故) 경암(耕岩) 송금조 회장이 평생 근검절약으로 모은 재산을 모두 사회에 환원하겠다는 취지에서 설립한 공익재단이다. 어려운 시대에 태어나 맨손으로 일찍 사회생활을 시작했던 경암은 인재양성, 학술진흥, 문예창달이 국가발전 및 인류사회의 지속적인 번영에 기여하는 가장 확실한 길이라는 신념으로 경암학술상 제정을 위해 1000억 원을 기부했으며, 인재육성과 학술문화 창달에 밑거름이 되는 그 밖의 사업으로 재단의 목적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경암교육문화재단은 2009년부터 ‘바이오유스 캠프’를 지원하기 시작했고, 2010년부터는 단독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를 기리기 위해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에서는 ‘바이오유스 캠프’로 불리던 행사의 명칭을 2010년부터 ‘경암바이오유스 캠프’로 변경했다. 이처럼 경암바이오유스 캠프가 다른 학회 및 다른 과학 분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고등학생 생명과학 교육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기까지 경암교육문화재단의 아낌 없는 후원이 있었다.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소개

올해 창립 35주년을 맞이한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는 1989년 창립된 이래 비약적으로 발전해 현재 5500여 명의 박사학위 소지자인 정회원과 학생회원, 산업체 회원들을 포함해 등록회원 1만8000명이 넘는 이학·의약학·농수산 분야를 아우르는 우리나라 생명과학계 대표 학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학회는 매년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해 세계의 유수 과학자들을 초청하고 국내 연구자들과의 소통을 증진시킴으로써 연구 개발을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생명과학 분야의 세계적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동계학술대회 개최, 5개 지역 분회/20개 학술분과/5개 준분과의 학술 활동 지원, 생명과학 분야 후속세대 양성을 위한 ‘경암바이오유스 캠프’ 개최를 통해 국내외 생명과학계의 발전을 위한 중심체로서 선도적 역할을 꾸준히 수행해오고 있다. 이외에도 생명과학 관련 연구비 지원제도 및 교육정책에 관한 학계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표명하고 정부 관계부처에 제안함으로써 연구비의 효율적 분배와 미래 지향적인 교육 여건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smcb.or.kr

0 Comments
카테고리
투데이포스팅
비즈플레이와 원더클럽, 클럽72가 공동 주최하는 ‘KPGA 코리안 투어’가 27일 개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