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회계 관련뉴스

한국 딜로이트 그룹 ‘2024 글로벌 MZ세대 서베이’ 국문본 발간

뉴스포커스 0 2


서울--(뉴스와이어)--한국 딜로이트 그룹(총괄대표 홍종성)이 ‘딜로이트 2024 글로벌 MZ세대 서베이(Deloitte’s 2024 Gen Z & Millennial Survey)’ 국문본을 공개했다.

딜로이트 ‘글로벌 2024 MZ세대 서베이’ 인포그래픽
딜로이트 ‘글로벌 2024 MZ세대 서베이’ 인포그래픽
올해로 13회째 진행된 이번 ‘딜로이트 MZ세대 서베이’는 전 세계 44개국에서 2만2800명 이상의 MZ세대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한국의 경우 총 500명(Z세대 300명, 밀레니얼 세대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과 심층 인터뷰가 진행됐다.

리포트에 따르면 한국과 글로벌 MZ세대는 어려운 경제 여건을 이겨내기 위한 ‘생계비’에 가장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뒤를 이어 ‘실업’ 및 ‘기후변화’ 등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고 응답했다.

향후 경기 및 재정 상황 전망에 대해서는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모두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한국 MZ세대는 직업에 대한 목적의식이 낮았고 기후위기 불안감을 크게 느끼고 있지만 지속 가능한 제품 구매에는 다소 미온적인 반응을 보였다. 생성형 AI 역량 강화에는 소극적인 자세를 보였으며, 10명 중 7명은 재정 상태와 직장 스트레스로 인해 정신건강에 취약점을 보인다고 답했다.

한국 MZ세대 ‘경기 및 개인 재정 나빠질 듯’… 과반수는 본인의 신념과 조직 가치의 불일치 경험해

2024년 기준 한국 MZ세대는 향후 1년간 전반적인 경기 상황이나 개인 재정 상황이 나빠질 것으로 예상했다. Z세대의 14%, 밀레니얼 세대의 12%만 전반적인 경기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 봤으며 2023년 응답률은 Z세대 9%, 밀레니얼 세대 16%였다. 개인 재정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 응답한 비율도 Z세대는 34%, 밀레니얼 세대는 18%에 머물렀다. 2023년에는 각각 23%, 22%였다.

글로벌 MZ세대도 비슷했다. 글로벌 Z세대의 32%, 글로벌 밀레니얼 세대의 31%만 전반적인 경기 상황이 좋아질 것으로 봤으며 개인 재정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 답한 글로벌 Z세대는 48%, 글로벌 밀레니얼 세대는 40%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다. 이는 한국 MZ세대와 비교하면 높은 수치다.

글로벌 및 한국 MZ세대 모두 팍팍해진 지갑 사정에 따라 최대 관심사로 ‘생계비’를 꼽았다. 한국 Z세대, 밀레니얼 세대 모두 각각 45%, 40%가 생계비가 최대 관심사라 답했고 글로벌 Z세대의 34%, 밀레니얼 세대 40%도 동일하게 답변했다. 뒤를 이어 한국 Z세대 23%, 글로벌 Z세대 21%가 ‘실업’이라 응답했으며 한국 밀레니얼 세대 35%, 글로벌 밀레니얼 세대 23%는 ‘기후변화’가 최대 관심사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 MZ세대의 직업에 대한 목적의식은 글로벌 MZ세대와 비교해 낮았다. 한국 Z세대의 77%, 한국 밀레니얼 세대의 81%만 직업에 대한 목적의식을 갖는 것이 직업 만족도와 본인의 웰빙에 중요하다고 답했으며, 이는 글로벌 Z세대 86%, 밀레니얼 세대 89% 응답률과 비교하면 낮은 수치다. 자신의 직업이 목적의식을 갖게 한다고 응답한 비율도 한국 Z세대는 63%, 밀레니얼 세대는 76%에 불과했으며 이 역시 글로벌 Z세대 81%, 밀레니얼 세대 82% 대비 크게 낮았다.

한국 MZ세대는 직업 선택에서도 기계적이고 수동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국 Z세대의 19%, 밀레니얼 세대 12%만 개인적인 신념에 따라 배정받은 업무를 거부할 것이라 답했으며 채용을 거절할 것이라는 답변도 각각 19%, 12%에 불과했다. 한국 Z세대의 50%, 밀레니얼 세대의 47%만 현재 자신이 몸담은 조직의 가치 및 목적이 자신의 신념과 일치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이는 글로벌 Z세대 71%, 밀레니얼 세대 72% 응답률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다.

지속 가능한 환경 인식에 대해서는 한국 Z세대 62%, 밀레니얼 세대 58%가 우려하거나 불안함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다. 글로벌 MZ세대 응답도 비슷했다. 다만 기업 고용주에 대한 기후행동에 대해서는 한국 Z세대의 59%, 밀레니얼 세대 47%만 지속 가능한 제품이나 서비스 구매를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며, 이는 글로벌 Z세대 응답률 64%, 밀레니얼 세대 63% 대비 소폭 낮은 수치였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기업의 기후행동에 반응한 사례로는 한국 Z세대의 26%가 항공여행 자제, 22%가 유행 소비를 지양한 적 있다고 답했다. 앞으로의 행동에 대해서는 38%가 전기차 구매, 24%가 제품 구매 전 기업의 환경영향을 고려할 것이라 응답했다. 밀레니얼 세대 27%는 유행 소비를 지양했으며 24%가 항공여행을 자제했다고 밝혔다. 앞으로는 전기차 구매를 하겠다는 응답이 34%, 제품 구매 전 기업의 환경영향을 고려할 것이라는 응답이 24%였다. MZ세대 모두 앞으로의 기후변화 대응 소비자 행동으로 전기차 구매를 예정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생성형 AI, Z세대 45% ‘잘 모르겠다’… 한국 MZ세대 모두 정신건강 수준 취약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제미나이 등 생성형 AI 시대가 열린 가운데 한국의 Z세대 34%, 밀레니얼 세대 36%는 ‘놀랍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각각 34%, 30%는 ‘불확실하다’는 감정도 느끼고 있었다.

한국의 MZ세대는 글로벌 MZ세대와 비교해 생성형 AI 시대에 있어 다소 미온적인 대처에 머물고 있다. 글로벌 Z세대 17%, 밀레니얼 세대 16%가 자기계발 일환으로 생성형 AI 교육 및 역량 강화를 ‘이미 하고 있다’고 응답했지만 한국 MZ세대 응답률은 4%에 그쳤기 때문이다. 글로벌 Z세대 38%와 밀레니얼 세대 36%가 ‘교육 및 역량 강화를 1년 내 계획하고 있다’는 응답률을 보였으나 한국 MZ세대는 26%에 머물렀고 한국 밀레니얼 세대의 경우 36%는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심지어 ‘잘 모르겠다’는 답변의 경우 글로벌 Z세대는 19%, 밀레니얼 세대는 24%였지만 한국 Z세대는 무려 45%에 달했고 밀레니얼 세대도 34%의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한국의 MZ세대는 정신건강 측면에서도 취약점을 보인다. 한국의 Z세대 32%, 밀레니얼 세대 29%만 본인의 정신건강이 좋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글로벌 Z세대 51%, 밀레니얼 세대 56%에 비하면 크게 낮은 응답률이다. 그 이유에 대해 한국 Z세대의 경우 ‘장기적인 재정 상태’라 답한 응답률이 45%, ‘매일의 재정 상태’라 답한 응답률은 39%, ‘직장’이라 답한 응답률은 32%였다. 한국 밀레니얼 세대의 경우도 각각 45%, 45%, 32%였다.

홍종성 한국 딜로이트 그룹 총괄대표는 “글로벌 경제 상황이 어려운 가운데 한국 MZ세대는 재정적 측면에서 압박을 받고 있으며, 직업의 목적의식도 낮은 데다 정신건강 측면에서도 심각한 위협을 느끼고 있다”면서 “기업의 경영진들은 이번 서베이를 통해 한국 MZ세대를 명확히 이해하면서 그들이 생각하는 지속 가능한 경영, 생성형 AI 로드맵 전반의 사안들을 충분히 고려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024 글로벌 MZ세대 서베이’ 국문본 전문은 딜로이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웹사이트: https://www2.deloitte.com/kr

0 Comments
카테고리
투데이포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