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인터넷 관련뉴스

한국IT전문가협회, 서울디지털재단과 ‘서울시 AI 생태계 발전’ 위한 전략적 MOU 체결

뉴스포커스 0 8


서울--(뉴스와이어)--AI & 빅데이터 전문가 그룹인 한국IT전문가협회(IPAK , 회장 배성환)가 서울시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서울디지털재단(이사장 강요식)과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고 밝혔다.

배성환 한국IT전문가협회 회장(오른쪽)과 강요식 서울디지털재단 이사장이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배성환 한국IT전문가협회 회장(오른쪽)과 강요식 서울디지털재단 이사장이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배성환 한국IT전문가협회 회장(오른쪽)과 강요식 서울디지털재단 이사장이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배성환 한국IT전문가협회 회장(오른쪽)과 강요식 서울디지털재단 이사장이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양 기관은 5일(수) 오전 11시 서울스마트시티센터에서 서울디지털재단 강요식 이사장, 한국IT전문가협회 배성환 회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서울시 AI 생태계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본 협약은 서울디지털재단의 AI 공공 서비스 기획·개발 역량과 한국IT전문가협회의 CEO, 대학교수 등 약 500여 개 회원사 전문가 네트워크를 결합해 AI 산업을 육성하고, 서울시의 지속가능한 AI 생태계를 촉진하는 것이 목표다.

서울디지털재단은 2016년 설립 이후 서울시 AI 공공 서비스 연구·개발과 함께 시민교육, 기업지원 등을 수행하며 스마트도시 서울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아울러 AI를 둘러싼 협력 인프라 구축을 위해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IAAE 국제인공지능&윤리협회 등 국내외 다수 IT 분야 기관과의 교류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IT전문가협회는 1985년 체신부 승인 1호 사단법인으로 설립돼 지난 40여 년 동안 우리나라가 IT 강국으로 발전하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해온 IT 전문가 단체다. 지금도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IoT), 모바일 관련 기술 등 ICT 산업이 국가경제발전에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활발히 활동 중이다.

양 기관은 업무협약을 통해 △서울시 과학 행정 구현을 위한 공익적 활동 △IT 분야 유망기업 육성 및 비즈니스 발굴 기술 지원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해외진출을 위한 정보 교류 △한국IT전문가협회 회원사 솔루션 활용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서울시 AI 정책 연구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해 민간·공공·학계 등 다양한 전문가가 함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서울시 AI 행정에 새로운 혁신적인 발전을 이뤄낼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디지털재단 강요식 이사장은 “AI 대전환 시대를 맞이해 산업 간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며 “초거대 AI 기술이 전 분야에 확산되기 위해서는 민간·공공 구분 없이 협력 지점을 지속적으로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번 업무협약은 그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배성환 한국IT전문가협회 회장(알에스엔 대표)은 “회원사가 보유하고 있는 AI & 빅데이터 기술과 전문 인력을 포함한 모든 역량을 집중해 서울디지털재단과의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도록 만들고, 한 단계 더 나아가 대한민국 AI 생태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부, 기관 등과 긴밀하게 연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국IT전문가협회 회원사인 스마트시티 전문 기업 그렉터의 김영신 대표는 “IoT 기술과 노하우를 집중해 서울시 AI 생태계 발전에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국IT전문가협회 소개

한국IT전문가협회는 1985년 체신부 승인 1호 사단법인으로 설립돼 지난 40여 년 동안 우리나라가 IT 강국으로 발전하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해온 IT 전문가 단체다. 협회는 회원 상호 간의 네트워크 강화와 역량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최신 AI & IT 트렌드와 기술정보 제공, 전문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회원들의 전문성 향상과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국가정책 제안 및 사회 공헌 활동을 통해 국내 AI & IT 산업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현재 회원들은 대기업 및 중견·중소기업의 CEO와 임원, 대학교수, 연구원 등 530여 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으며 역동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ipak.or.kr

0 Comments
카테고리
투데이포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