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보험 관련뉴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 고정비 최소화 및 라우드버짓팅 주목

뉴스포커스 0 11


서울--(뉴스와이어)--신한카드(사장 문동권)는 고정비 최소화, 알뜰폰, 소비 결산 공유 등 고물가, 고금리 시대를 관통하는 소비자들의 돈 관리의 기술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돈 관리의 기술
돈 관리의 기술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연령대별로 2023년 10~12월 통신비 건당 금액 변화를 살펴보면 2019년 동 기간에 비해 50대는 3.6%, 60대는 6.1% 증가한 것에 비해 20대는 29.2%, 30대는 32.8%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신한카드가 자사의 소비 데이터뿐 아니라 소셜미디어와 각종 채널의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해 소셜미디어를 살펴본 결과 2030세대 중심으로 ‘알뜰폰’이 많이 언급된 것과 관련해 실제 알뜰폰 요금제로 이동해 통신비를 절약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소셜미디어상에서 ‘고정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돈 관리의 최대 관심사로 나타난 것과도 연결된다. 2023년과 2019년의 비용 관련 연관어를 살펴보면 난방비, 식비, 의료비, 간병비, 학원비 등의 언급이 늘어나고 데이트비, 택시비, 학비 등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고물가, 고령화, 사교육 증가 등과 연관된 고정비 언급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Z세대를 중심으로 소비 계획 및 결산을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유하고 격려하는 ‘라우드버짓팅(Loud Budgeting, 시끄러운 예산 관리)’이 유행하면서 소셜미디어에서 소비+계획의 언급량은 2021년 1월에 비해 2023년 2월에 2.1배 증가했다.

연령별로 재테크 이슈는 다르게 나타났다. △10대는 ‘용돈·통장·취미’ 등으로 용돈 관리를 △20대는 ‘지출·목돈·소비’로 지출 방어를 통한 목돈 마련을 △3040세대는 ‘투자·자산·수익’으로 본격적인 투자활동 △5060세대는 ‘연금·수입·노후’ 등으로 안정적인 수입 시스템 확보에 관심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신한카드는 빅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Z세대의 이런 소비 계획 및 지출 관리 트렌드를 상품 서비스에도 반영해 사회초년생을 위한 신용카드인 ‘신한카드 처음’에 계획 소비와 즉시결제에 혜택을 주는 소비 관리 보너스 적립 서비스를 넣기도 했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월 3억5000만 건의 소비 데이터에 숨겨진 고객들의 라이프스타일과 가치관 변화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했다며, 앞으로도 고객과 시장을 이해하는 신한카드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shinhancard.com

0 Comments
카테고리
투데이포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