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교 관련뉴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재직자들의 소프트스킬에 대한 인식과 교육훈련 경험’ 조사 결과 분석

뉴스포커스 0 34


세종--(뉴스와이어)--재직자들은 ‘업무에서 소프트스킬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소프트스킬에 대한 중요도와 자신의 능력은 보통에 가까운 것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수행 과정에서 하드스킬과 소프트스킬이 차지하는 비중에 대한 인식
업무수행 과정에서 하드스킬과 소프트스킬이 차지하는 비중에 대한 인식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은 5월 16일(목) ‘KRIVET Issue Brief 281호(재직자들의 소프트스킬에 대한 인식과 교육훈련 경험 분석)’를 통해 소프트스킬에 대한 재직자들의 인식과 직업훈련 경험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 소프트스킬(soft skills)이란 개인이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사람들과 협력해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근로자의 특성과 습관, 태도 등을 포함함.
※ 김지영 외(2023)는 델파이조사를 통해 소프트스킬을 구성하는 영역과 하위영역을 ‘인성’(성향과 태도), ‘인지능력’(기초지식과 사고능력), ‘실행역량’(자기관리, 대인관계, 자원활용, 전략실행)으로 설정했다.
※ 이 설문은 재직자 1083명(만 20세~59세)을 대상으로 2023년 11월 21일부터 29일까지 진행했다.

주요 분석 결과(KRIVET Issue Brief 281호 참조)는 다음과 같다.

재직자 3명 중 1명은 소프트스킬의 비중이 65% 이상을 차지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업무수행 과정에서 활용하는 소프트스킬과 하드스킬의 비중에 대한 인식은 ‘소프트스킬 65% 이상’ 33.2%, ‘소프트스킬 50% 내외’ 33.9%, ‘하드스킬 65% 이상’ 32.9%로 조사됐다.

직종별로는 ‘서비스직’에서 ‘소프트스킬 65% 이상’이라고 응답한 비율(37.7%)이 가장 높았고, ‘조작·조립·기능직’의 경우 ‘하드스킬 65% 이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5.3%로 가장 높았다.

소프트스킬 ‘실행역량’ 영역에 대해 재직자들은 ‘중요도’와 ‘자신이 보유한 능력’ 모두 보통에 가깝다고 응답했다.

소프트스킬 ‘실행역량’ 영역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중요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53점이며, 하위영역 중 ‘대인관계’의 중요도는 3.59점으로 모든 직종에서 가장 높았다.

소프트스킬의 ‘실행역량’에서 ‘자신이 보유한 능력’에 대해 재직자들은 5점 만점에 평균 3.18점으로 응답했으며, ‘관리·전문·관련직’(3.28점)과 ‘사무직’(3.22점)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재직자 중 절반 정도만이 소프트스킬 교육훈련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다.

소프트스킬에 대한 교육훈련 수강 경험이 있는 재직자 비율은 약 51%였으며, 직종별로는 ‘관리직·전문직·관련직’(69.5%)과 ‘사무직’(60.7%)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수강 영역은 ‘조직 이해’(41.8%), ‘자기관리’(33.5%), ‘직무 태도’(32.9%) 등의 순으로 참여 비율이 높았다.

이 연구를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김지영 연구위원은 “재직자들은 업무에서 소프트스킬이 차지하는 비중을 상당히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소프트스킬에 대한 중요도와 자신의 능력은 보통에 가깝게 평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슈브리프의 원자료에서 실시한 분석에서 최근 ‘직업능력개발사업’은 대부분 ‘소프트스킬’보다 ‘하드스킬’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직무에서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고 고차원적인 소프트스킬이 요구됨에 따라 소프트스킬에 대한 인식 제고와 교육훈련 확대 등을 위한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소개

1997년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와 통합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된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국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과 고용 분야에 대한 정책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첨부자료:
2024.5.16. KRIVET Issue Breif 제281호.pdf

웹사이트: http://www.krivet.re.kr

0 Comments
카테고리
투데이포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