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능연 ‘국내 R&D 분야 외국인 고급 인력의 첨단분야 참여 실태와 정주 여건 분석’ 발표
뉴스포커스
0
14
01.01 02:10
R&D 분야 외국인 고급 인력들이 한국에 취업한 주요 이유는 주거와 경력개발 때문으로 조사됐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은 12월 31일(화) ‘KRIVET Issue Brief 295호(국내 R&D 분야 외국인 고급 인력의 첨단분야 참여 실태와 정주 여건 분석)’를 발표했다.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과학기술인 교육플랫폼 DB 내 국내 외국인 고급 인력 1500명(R&D 분야 외국인 재직자 500명 및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 1000명)을 대상으로 한국직업능력연구원과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이 공동 조사 실시 후 데이터 분석
주요 분석 결과(KRIVET Issue Brief 295호 참조)는 다음과 같다.
R&D 분야 외국인 고급 인력들을 대상으로 한국에 취업한 이유를 생활 측면과 직장 측면으로 나눠 물어봤다.
생활 측면에서 한국에 취업한 이유로는 ‘주거 환경’이 20.2%로 가장 높았고, ‘급여 수준’(16.8%)과 ‘경력 개발’(11.2%)이 뒤를 이었다.
직장 측면에서 한국에 취업한 이유로는 ‘경력개발’이 30.2%로 가장 높았고, ‘연구 인프라’(18.4%)와 ‘전공지식 활용’(18.0%)이 뒤를 이었다.
졸업 후 한국에서 취업을 계획 중인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534명)을 대상으로 생활 측면과 직장 측면으로 나눠 이유를 물어봤다.
생활 측면에서는 ‘급여 수준’이 37.8%로 가장 높았고, ‘주거 환경’(17.4%)과 ‘경력 개발’(15.0%)이 뒤를 이었다.
직장 측면에서는 ‘급여 수준’이 34.1%로 가장 높았고, ‘경력개발’(27.2%)과 ‘연구 인프라’(17.6%)가 뒤를 이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송승원 부연구위원과 장광남 부연구위원은 “R&D 분야 외국인 재직자와 이공계열 외국인 대학원생의 국내 취업 선호요인이 다르다”며 “외국인 고급 인력의 전략적 유치를 위해서 초기 유입 단계에서는 경제적 처우를, 정착 단계에서는 생활 인프라를 강화하는 등의 경력 단계별로 차별화된 지원 정책이 설계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R&D 분야 외국인 고급 인력에 대한 주기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유치-양성-활용-정착 단계별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기반한 정책 발굴 및 맞춤형 지원 방안 모색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소개
1997년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와 통합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된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국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과 고용 분야에 대한 정책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첨부자료:
2024.12.31. KRIVET Issue Brief 제295호.pdf
웹사이트: http://www.krivet.re.kr